주식 영어 용어 정의 정리 per bps pbr roe
국내 주식 etf etn 종목 금융상품 비교 차이
- 공유 링크 만들기
- X
- 이메일
- 기타 앱
국내 주식을 접하시다면 일반적으로 종목주들에 대해서는 아실 수 있지만, 가끔 종목 가운데 etf 또는 etn 이라는 금융상품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주식 거래가 처음 이시거나 etf etn 금융상품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를 고민하시는 분들께서는 비교 및 차이점을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국내 주식 etf etn 금융상품 비교 차이
1. etf(상장지수펀드)
(exchange traded fund)
국내 주식 etf 금융상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발행주체 : 자산운용사
- 펀드이므로 만기가 없음
- 시장추종형 지수
- 10개 이상의 종목으로 구성
- 운용 실적 등에 따라 수익의 차이가 발생
etf 레버리지형과 etf 인버스형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레버리지형은 기초 자산이 상승할 때 2배의 수익을 주는 구조이며, 인버스형은 기초자산이 하락할 때 수익이 나는 구조입니다.
2. etn(상장지수증권)
(exchange traded note)
국내 주식 etn 금융상품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 발행주체 : 증권사
- 만기 : 1 ~ 20년
- 맞춤형 지수
- 5개 이상의 종목으로 구성
- 약정 된 기초 수익 제공
etf는 펀드이므로 펀드 자산을 맡고 관리하는 회사가 별도로 보관하므로 안전했다면 etn 금융상품의 경우 증권사가 자신의 명의로 발행한 채권의 성격을 가지고 있어서 증권사가 부도나면 원리금을 혹시라도 못 받을 수 있다는 부분이 발생 할 수도 있습니다.
etn은 주식, 채권, 원자재 등의 가격이 연동된 파생결합증권으로 간접투자 되는 상품이며, 증권사가 투자자로부터 돈을 받아 만기까지 기초자산의 수익률을 그대로 복제하여 돌려주겠다고 약속한 채권입니다.
etn 금융상품 역시 증권 거래소에 상장되어 있어 주식처럼 실시간 거래가 가능하며, etn 종목명에는 일정한 규칙이 있어 종목명으로 발행 증권사, 추종하는 지수, 레버리지 배율, 상품 특징 및 환헤지를 할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국내 주식 etf etn 종목 금융상품 비교 및 차이점에 대해 남겨드렸습니다. 두 상품은 모두 지수추종형 상품으로 기초자산 가격변화 추종형 선형 수익구조라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etf 및 etn 금융상품을 관심 가지고 투자를 고민하시는 분들께서는 발행주체인 증권사 및 자산운용사별로 비교해 보시기 보시기 바라며, 종목별 증권종목을 분석하기 어려우신 분들, 투자하고 싶지만 종목 금액이 높아서 투자하지 못하시는 분들, 일반 종목의 상승보다 안정적으로 수익을 생각하시는 분들께서는 etf 금융상품에 투자하시는 것을 추천드리며, 조금더 공격적인 투자를 고민하시는 분들은 etn 금융상품을 추천드립니다.
각 금융상품에 대한 금융투자회사로부터 충분한 설명을 꼭 들으셔야되며, 투자설명서 또한 반드시 읽어보신후 투자하셔야 됩니다. 누군가 잘되었다는 이야기만으로 투자하시면 나중에 곤란한 상황이 발생 할 수 있다는 점을 강조드립니다.